경제

22년 11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금리인상(3.75 -> 4%)

JW2210 2022. 11. 3. 22: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준금리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서 기준금리는 시중은행금리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금리가 오르게 되면 은행 금리도 대체로 상승하게 되어 기업은 투자를 줄이게 되고 가계는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또한 자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래 수익 현재가치가 낮아지게 되어 주식과 부동산 같은 자산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반대로 금리를 내리게 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같이 낮아지기 때문에 투자와 소비가 늘어나게 되고 자산 가격은 상승합니다.

 

22년 11월 3일 연준에서 또 한 번 자이언트 스텝 0.75%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4 연속 자이언트 스텝으로 미국 금리 상단이 4%가 되었습니다. 대한민국 금리가 3%인 것을 고려하면 금리 차이가 매우 큰 상황입니다. 물론 미국은 고정금리 대출이 많은 반면 저희는 변동금리가 많기 때문에 급격한 금리인상은 어려운 것이 사실이긴 하지만 미국과 금리 차이가 커질 경우 달러 유출을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네요. 앞으로 기준금리는 12월과 내년 1분기 동안 0.75~1.25% 이상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달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2%였고 미국 실업률 또한 높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자이언트 스텝은 예상했던 결과였습니다. 하지만 미국 기업들의 실적이 떨어지고 있고 11월 CPI가 1% 이상 떨어진 지표를 보여준다면 12월 금리인상부터는 금리인상 폭이 조금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미국의 금리인상이 중단되어 안정된 모습을 보여줘야 미국과 한국의 주식시장도 강한 베어마켓 랠리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 나올 CPI나 실업률과 같은 지표를 유심히 봐야 할 것 같네요. 

 

반응형